[언론보도] (9/15 ~ 9/21) 관련기사 모음 > 언론보도

본문 바로가기

언론보도Press Release

협회는 정부의 에너지관련 정책 수립 및 지원, 회원 간 비즈니스 모델 공유 및 애로사항 해소, 정책제도 개선연구, 해외 진출지원, 산업의 보급·확산 및 이용 촉진 기반조성, 신기술 연구 및 인재양성 등의 사업을 주도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언론보도] (9/15 ~ 9/21) 관련기사 모음

페이지 정보

작성자 bems 댓글 0건 조회 611회 작성일 20-09-17 13:58

본문

저작권 관계로 기사가 위치한 언론사 주소(URL)만을 단순링크의 형태로 게재합니다.




(매일경제) 文, 3.2조 투자 스마트그리드 산단 전환 그린뉴딜 시동!

문재인 정부가 한국판 뉴딜에 대한 행보로 ‘스마트 산단’을 넘어 ‘스마트그린 산단’으로 대한민국 경제의 경제력을 높이기 위해 3.2조를 투자한다. 문 대통령은 최근 창원 국가산업단지에서 보고 대회를 열고 “오는 2025년까지 스마트 산단 일곱 곳 모두 스마트그린 산단으로 전환 하기 위해 3조 2000억원을 투자 하겠다”고 밝혔다. 정부의 이 같은 한국판 뉴딜 행보로 스마트그린 산단으로 전환 정책을 발표하며 향후 그린 뉴딜 정책은 강력한 드라이브 걸 것으로 기대 되고 있다. 정부의 3.2조원 투자로 스마트그리드 산단 전환이 성공하게 되면 생산은 12조3천억원이 늘고, 신규 일자리는 3만3천개가 만들어질 것으로 전망 된다.

https://www.mk.co.kr




(정보통신신문) OCF 발판삼은 스마트홈, 시장 확대 '날개짓'

사물인터넷(IoT) 국제표준인 OCF가 생태계 조성을 본격화하면서 스마트홈 시장에 훈풍이 불고 있다. OCF(Open Connectivity Foundation)는 삼성전자, LG전자, 인텔, 마이크로소프트 등이 모여 결성한 IoT 사실표준화 기구로, IP 기반의 다양한 IoT 디바이스와 상호연결을 지원하는 연결기술 및 데이터 모델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주로 클라이언트-서버 모델에 기반한 아키텍처를 기본으로 D2D(Device-to-Device), D2C(Device-to-Cloud), C2C(Cloud-to-Cloud) 통신을 규격화하고 있어 스마트홈 용도에 최적화됐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올 초 공식 발표된 OCF 2.1버전은 클라우드와의 인터페이스 표준인 OCF 유니버셜 클라우드 인터페이스(OCF UCI)까지 정의하고 있다. OCF UCI는 다양한 제조업체의 클라우드 서버 간의 연결, 장치와 클라우드 간의 연결을 표준화한 것이다.

http://www.koit.co.kr




(조선비즈) 한·미 ICT 정책포럼 개최… 5G 보안·AI 전략 등 논의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미국 국무부가 '제5차 한-미 ICT 정책포럼'을 15일 화상으로 개최하고 양국 최신 ICT 정책, 5G 보안, AI, 국제기구 협력, 민간분야 이슈 등 5개 주제에 대해 양국 관련부처 및 기관의 발표와 토론을 이어갔다. 한국 측은 정희권 과기정통부 국제협력관, 미국 측은 스티브 앤더슨 국무부 부차관보 대행이 수석대표로 회의를 주재했다. 이번 포럼에서 한·미 정부 대표들은 양국 디지털 경제의 성장을 촉진하고 혁신의 장애물을 줄이는 방안을 추진하기 위해 양국 간 ICT 정책 조율을 지속할 필요성을 제기했다.

https://biz.chosun.com




(전기신문) 7천억 규모 AMI 규격 뚜껑 열리자 업계 반발 커져

전력기반센터가 최근 밝힌 ‘가정용 스마트전력 플랫폼 사업(이하 아파트 AMI사업)’ 내용을 놓고 국내 AMI 업계가 여러 문제점들을 지적하면서 손익구조 계산에 분주한 모습이다. 전력기반센터는 지난 7일 한국판 그린뉴딜 사업 중 하나인 사업비 총 7050억원 규모의 ‘가정용 스마트전력 플랫폼 사업’에 대한 상세규격 및 요구사항 의견수렴 안내문을 게시했다. 내용이 공개되자 AMI 업계에서는 여러 문제점을 지적하면서 보완책 마련을 주문하고 있다. 가장 공통적으로 언급되는 부분은 ‘보안’ 이슈다.

http://www.electimes.com




(중앙일보) [청정 에너지 시대로] 신재생 에너지 확대, 혁신 일자리 창출로 ‘그린뉴딜’선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속에서도 에너지 관련 공기업들의 움직임이 활발하다. 정부의 ‘그린 뉴딜’ 정책 기조에 발맞춰 신재생 에너지 확대 보급에 팔을 걷어붙였다. 한편으론 ‘따뜻한 성장’을 위한 마중물 역할에도 적극적이다. 코로나19에 대응하기 위해 정부는 지속가능한 에너지 발전으로 전환하는 그린 뉴딜을 추진하고 있다. 기존 화석 에너지 중심에서 저탄소 분산형 에너지로, 에너지 발전 패러다임 전반에 걸쳐 혁신을 통한 일자리를 창출하겠다는 구상이다.

https://joongang.joins.com




(투데이에너지) 伊, 건물 에너지효율 개선 지원 추진

이탈리아 정부가 건물 에너지효율을 향상시킬 슈퍼 에코보너스 정책을 발표했다. 코트라 이탈리아 밀라노무역관에 따르면 이탈리아 정부는 건설경기 활성화와 관련산업의 빠른 회복을 위해 한층 강화한 슈퍼 에코보너스(SUPER ECOBONUS) 정책을 발표했으며 이 정책은 기존에 있던 정책의 친환경 산업의 지원폭을 강화해 더욱 적극적인 투자를 유도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슈퍼 에코보너스 정책은 건축 공사를 통해 주택 및 건물의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키는 비용의 최대 110%를 5년 동안 공제해준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에너지 효율 개선’이다. 이탈라아 정부는 역사가 오래된 도시인 만큼 건물 에너지효율을 최대화 하기 위해 태양광 패널 지붕설치, 난방기 교체 등을 지원해왔으며 이에 더해 슈퍼 에코보너스는 가정의 에너지 효율 등급을 2단계 이상 개선하는 공사에 소요된 비용의 110% 공제를 시행함으로 건물 혹은 주택의 구조적 시스템 개선에 주력을 뒀다.

http://www.todayenergy.kr




(에너지데일리) “포스트 코로나 시대… 청정에너지 기술혁신 정부에게 달렸다”

코로나로 R&D도 직격탄… ‘위기를 기회로’ 만드는 정부 역할 어느 때보다 중요 / 정부, R&D가 직면할 불확실성·민간 투자 감소 상쇄하는 핵심적 역할 담당해야 / 혁신 가속 위한 ‘5대 원칙’ 통해 탄소중립 목표 달성 가능… 정부 선제적 대응 필요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청정에너지 기술 혁신에 있어 정부의 역할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해지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에너지경제연구원의 ‘IEA의 청정에너지 기술혁신 가속화 전략’ 분석에 따르면 코로나19의 세계적 대유행으로 청정에너지 기술 혁신은 위기와 기회를 함께 맞이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 세계적으로 약 75만명이 에너지 R&D 분야에 종사하고 있고 이들 중 절반 정도가 중국, 일본, 미국, 프랑스, 독일에 있는데 이들이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일자리를 상실한다면 청정에너지 기술혁신이 더뎌질 것이라는 분석이다.

http://www.energydaily.co.kr




(칸) 온실가스·에너지 규제강화, FEMS ‘주목’

공장에너지관리시스템(FEMS: Factory Energy Management System)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온실가스 검증심사 전문가들은 산업체 온실가스 규제가 강화되면서 에너지다소비사업장 등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목표관리제 규제를 받는 기업들은 절감효과가 크고 투자비회수율(ROI)이 우수한 조치들은 대체로 이미 적용한 상태라고 분석한다. 2018년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제2기 계획기간이 시작되면서 3%의 유상할당제가 개시됐다. 내년 제3기 계획기간이 시작되면 유상할당비율은 10%로 늘어난다. 또한 제3차 에너지기본계획(이하 3차 에기본)에 따라 산업부문은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을 BAU대비 8.1%p 감축해야 한다. 특히 최근 전 세계적으로 화두가 되고 있는 그린뉴딜 이슈에 따라 국내 각계에서는 우리나라도 2050년까지 탄소배출 넷제로(Net Zero)로 해야하며 이를 위해 단·중·장기 감축목표를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정부도 이에 대해 긍정적인 검토를 하고 있는 만큼 감축목표도 지속 강화될 가능성이 높다.

http://www.kharn.kr
(우 08504) 서울시 금천구 서부샛길 606 대성디폴리스 B동 2708호(가산동 543-1)
Tel. 02-6092-1115~7 | Fax. 02-861-9913
Copyrightⓒ한국EMS협회. All rights reserved. ETC